요즘 집에서 TV 보다 보면 어떻게 다양하게 방송을 볼 수 있을까 생각해 보게 됩니다. IPTV 같은 경우 KT 업체 사용한다면 KT는 TV 동축케이블로 서비스 자체를 하지 않기 때문에 TV 수신카드는 별도의 안테나를 달고 지상파 출신이 가능하고 IPTV 서비스가 LG 나 SK 혹은 지역케이블방송 사인 경우 TV 동축케이블로 인터넷 서비스를 하는 경우만 아파트 경우나 SK 경우 upt 랜선으로 바로 들어오는 방식이 있는데이 경우 TV 동축케이블이 아니라 TV 수신카드로 케이블채널 시청은 불가능 할 것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dfiK/btqNzqXGF6r/7YuOckA8XFJ7xmgYCWHjwK/img.jpg)
그런데 수신카드가 좀 비싸긴 하고 그런 제품은 현실적으로 필요할까 생각도 드네요. 지금 시기에 TV 수신카드는 USB 형 또는 pci-ex 형태이고 OS 지원은 윈도우 10 만드는 것도 있는데 어떻게 갈지는 잘 생각해 봐야겠지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aD3Ot/btqNqdswBhB/hHBdiEYymS875VV0qJR111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T7KC/btqNr76aFUW/pIRmFZNRZ38LGQob0rtQVK/img.jpg)
돈을 안 드리는 경우도 있는데 일단은 지역 케이블 방송에서 셋탑없이 디지털방송을 수신하는 것을 찾아보고 지역마다 없을 수도 있으나 웬만하면 광역시 그게 다 있고 지역마다 다르나 대체적으로 채널은 100개 정도 되더라고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Kn2s0/btqNq0TJSF0/0ITqYEO42DrpYr8iz5rpMK/img.jpg)
이 방식은 케이블선이 하나 들어오므로 아파트 경우 벽면 TV 단자에 연결하면 되고 가정집은 엘리베이터없는 소형 다세대 집인 경우 벽 타고 TV 선이 나 하나 들어와야 하고 원룸 같은 경우 상황에 따라 유동적이라 보면 됩니다. 인터넷 연결되어 있는데 굳이 실시간 지상파 안 내도 되지 않을까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재미나게 잘 보면 되는 거지요.
잘은 모르지만 요즘에는 방송 보는 시간이 점점 줄어드는 것 같더라구요. 아무래도 인터넷이 되다 보니까 그만큼 다양하게 채널을 찾아서 시청할 수 있는 방송들이 많이 있다 보니까 그렇게 변해 가는 것 같습니다.